기본형 데이터 타입(Primitive Type)
메모리에 효율적인 사용을 위해 사이즈별로 나누어 놓았다.
자바에서 사용하는 기본형 데이터 타입은 총 8가지다.
1 Byte | 2 Byte | 4 Byte | 8 Byte | |
정수형 | byte | short | int | long |
실수형 | float | double | ||
문자형 | char | |||
논리형 | boolean |
- 빨간색으로 표시한 int와 double은 항상 기준이 되는 데이터 타입이다.
✍입력
byte b = 127;
System.out.println(b);
b = 128; // 오류 발생. byte타입의 범위는 -128 ~ 127이기 때문이다.
- 범위가 작은 데이터 타입에 보다 큰 값을 저장하면 오버플로우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에러가 난다.
✍입력
int i = 32768;
i = 2147483648; // 오류 발생.
- 정수 리터럴에 접미사 L이 없으면 int로 간주된다. int의 최대 표현 가능한 수가 2147483647이기 때문에 오류가 발생하였다.
✍입력
long l = 2147483648L;
- long타입에는 접미사 L을 붙여줘야 한다.
✍입력
l = 100L
i = 100L // 오류 발생.
- 100은 비록 int의 범위에 속하지만 뒤의 접미사 L 때문에 오류가 발생하였다. 접미사 L이 붙으면, int에 저장가능한 값이라고 해도 저장이 불가능하다.
✍입력
float f = 3.14f;
double d = 3.14;
- float타입에는 접미사 f를 붙여줘야 하며, double타입은 생략가능하다
✍입력
char c = 'A' + 1;
System.out.println(c);
- 문자 A의 유니코드에 1이 더해지는 것이기 때문에, 출력 값은 B이다.
✍입력
boolean bool = true;
bool = false;
- 논리형은 true와 false만 저장할 수 있다.
'개발 > 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Java] print(), printf, printfln() (0) | 2022.12.26 |
---|---|
[Java] String 타입 (0) | 2022.12.26 |
[Java] 변수의 값 바꾸기 (0) | 2022.12.24 |
[Java] \n, \t (0) | 2022.12.24 |
[Java] 상수(Constant) (0) | 2022.12.2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