자바의정석/Chapter 2

3. 화면에서 입력받기 - Scanner - Scanner란? 화면으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는 기능을 제공하는 클래스(클래스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라고만 알아두면 된다 아직은.) - Scanner를 사용하려면... 1) import문 추가 - import문은 사용하려는 클래스가 어디에 속해 있는 지, 어떤 패키지에 속해 있는지 알려주기 위한 것. import java.util.*; 2) Scanner객체의 생성 (객체를 생성해야 사용할 수 있는 클래스가 있고, 없어도 되는 클래스가 있다. println이나 printn은 객체 생성 필요x.) Scanner는 꼭 객체를 생성해야만 한다. Scanner scanner = new Scanner(System.in); // System.in은 화면입력을 의미 3) ..
1. 형식화된 출력 - printf() - println()의 단점 - > 출력형식 지정불가 1) System.our.println(10.0/3) ; // 3.33333333......... 한 소수점 3자리 까지만 나타내고 싶지만 println형식엔 그런 기능이 없다 2) 10진수로만 출력된다. - 8진수, 16진수로 출력하려면? System.out.println(0x1A); // 26( %.2f 는 소수점 둘째자리 까지 출력하라는 의미 System.out.printf('%d', 0x1A); // 26 --> %d는 정수를 10진수로 출력하라는 의미 System.out.printf("%X", 0x1A); //1A --> %X는 16진수로 출력하라는 의미 %.2f, %d, %X --> 지시자 라고 부른다..
2-9 int x = 10, y = 20; 2개의 컵으로는 교환할 수 없다. 그래서 새로운 컵이 하나 필요하다 그게 바로 tmp! int x = 10, y = 20; int tmp; // 빈컵 tmp = x; // x의 값을 tmp에 저장 x = y; // x의 값을 y에 저장 y = tmp; // tmp의 값을 y에 저장 그냥 값만 찍으면 헷갈릴수도 있으니 (구별하기 어려울수도 있으니 변수앞에 글자를 붙여주면 편하다. - +는 덧셈의 의미도 있지만, 숫자 앞에 글자를 붙일때도 사용 - 값의 타입 문자 숫자(정수, 실수) 논리형 --> 자바에는 값의 종류에 따라 총 8개의 기본형 타입이 있다 (char, byte, short, int, long, float, double, boolean) - 기본형과 참..
1. 변수(variable)란? 변하는 수? 하나의 값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공간! 메모리 공간은 ram을 의미 각각의 메모리에 메모리 주소가 있다. 원래 숫자인데 사람이 외우기 어렵기 때문에 이름을 붙여준다. 2. 변수의 선언 1) 변수의 선언 이유 - 값(data)을 저장할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서 2)변수의 선언 방법 변수를 선언하는 것도 하나의 자바 문장이기 때문에 뒤에 세미콜론 ; 을 붙여준다 변수타입 변수이름; ex) 변수이름이 age라면? 변수이름 앞에 변수 타입을 적어줘야 한다 정수를 저장할 거라면 앞에 int를 붙여줘야 한다 정수(integer) int age ; >> 변수의 선언 완성 // 정수(int)타입의 변수 age를 선언 3. 변수에 값 저장하기 1) 변수에 값 저장하기 ( '..
hello 3개 ㅎㅎㅎ 나눗셈 .0 붙이기
suniverse
'자바의정석/Chapter 2' 카테고리의 글 목록